Kernel에 대하여
Kernel Method (커널, 핵 방법론)
왜?
커널(kernel, 핵) 방법론을 공부하면서 제일 많이 들었던 생각은 “왜” 였다. 그래서 “왜” 커널 방법론을 쓰는 지 부터 커널 방법론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여보겠다.
커널은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분석하기 위한 도구이다. 우리는 벡터 공간에 대해서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을 수행하지만, 문자열이랄지, 그래프랄지 이미지 등등 다양한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론이 잘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각각의 데이터에는 고유한 가정들이 있다. 컴퓨터 비전에서 이미지는, 돌리거나 옮기는 아핀 변환에 대해서도 동일한 속성을 추론하기를 기대한다. 실제로 우리가 컴퓨터...
Zotero와 함께 논문을 읽고 정리하기
들어가며
연구를 수행하면서 가장 많이 마주하게 되는 것은 글이다. 새로운 발견이 있다면 아마도 논문을 통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될 것이고, 책을 통해서도 그 분야의 기초를 쌓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우리는 새로운 논문을 작성하게 된다. 새로운 논문을 작성하면 기존의 논문을 “인용”하게 되는데, 하나 둘이면 모를까 논문이 수십 편 즈음 되기 시작하면 인용할 논문을 정리하기도 난감하다. 이러한 논문을 포함한 글을 참고하기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 서지관리 소프트웨어이다.
서지관리 프로그램에 들어가기에 앞서, 유료로 제공되는 여러 도구들이 있다. EndNote, Mendeley 등등… 이러한 서지관리 도구에 ...
서버관리자를 위한 안내서
동아리와 연구실,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서버를 관리하고 운영해보면서 처음 들은 생각은 막막함이였다. 서버는 저기에 있고, 서버에 문제가 터지면 해결은 해야 하는데, 받을때마다 상황이 급박하게 되어 ID/PW 이상의 인수인계는 잘 받지는 못하였다. 다행히도, 나는 받고 나서 이것 저것 여쭈어보며 배울 기회는 있었지만 항상 이런 일이 있을거 같지는 않는다. 인터넷을 찾아보는 사람들을 위해, 또 나를 위해 최대한 서버를 관리하면서 생기는 일과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해 남겨보고자 한다.
The Missing Semester of Your CS Education
Official MIT Course
한국어 번역
...
Slurm 설치 방법
(계속 업데이트 중…)
Slurm 이란 무엇인가?
Slrum은 여러 연산 서버가 돌아가는 환경에서 이를 조율하는 조율자의 역할을 한다.
비유를 하자면, 현악 합주에서 각 연주자가 연산 서버 노드가 될 것이고, 이를 조율하는 지휘자가 slurm 서버가 될 것이다.
Slurm을 설치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연구실 서버의 사양이 각기 다르고, 각자 다른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넘어가면 환경설정을 다시 해야하고, 서버 수가 많아지면서 각각의 관리가 어렵게 되었다.
다른 이유로는, 하나의 실험 job이 끝나면 다음 실험으로 넘어가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서버가 노는 (id...
연구실 생활 관련 정보 모음
대학원에 입학하고 한 학기가 지났습니다.
학부생 시절 인턴하는 시간을 포함하면 거의 연구실 생활을 1년 넘게 진행하였네요.
이리저리 굴러 다니면서 터득한 정보가 많기는 하지만, 정리를 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정리를 하는 김에, 다른 사람에게도 공유하면 좋겠다 싶어 블로그 글로 남겨봅니다.
대다수의 내용은 인터넷에서 흘러다니는 정보를 모은 내용입니다. 가능하면 출처를 남기었으니, 출처에도 들어가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많은 원본 내용은 영어이다 보니 비공식적으로 번역한 내용이 많습니다…
관련 포스팅
연구실 세팅
어떻게 연구를 할 것인가?
논문을 읽어보자
어떻게 인공지능 연구를 할 것인가?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성공적으로 마친 연구는 없습니다.
이 글을 쓴 목적은 인공지능 연구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움말을 모아보는 글입니다.
특히 저의 현재 전공이 인공지능이여서, 인공지능 연구 방법에 대한 도움말을 모아 보았습니다.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어떻게 연구를 하면 좋을지”에 대해서는 수업으로는 배우지 않습니다.
대다수의 대학원은 도제식 교육이여서, 이러한 내용을 지도교수님께 바로 배우면 좋겠지만 한계점은 존재합니다.
인터넷을 둘러보다 보면, 많은 연구를 하는 방법에 대한 글 그리고 도움될만한 쓰레드가 많습니다.
저도 즐겨찾기에 넣어만 두고 많이 읽지는 않았네요;;
모아두면 누군가에게는...
어떻게 인공지능 논문을 읽을 것인가?
어느 연구실이든 연구실에 들어가게 되면 먼저 하게 되는 일은 논문을 읽는 일입니다.
논문을 읽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이전에는 어떠한 연구를 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이전에는 이러저러한 시도가 있었고, 문제점은 무엇이였고, 우리는 여기서 어떻게 발전할지에 대해 알아보게 되지요.
그렇다면 논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논문을 읽을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논문을 짧은 시간 안에 필요한 정보만을 빠르게 뽑아서 소화시키는 능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인공지능 분야는 매우 급속도로 연구가 진행이 되는 터라,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모델(SOTA, state-of-the-art)의 논...
Tips on Writing
Personal collection about writing tips
Mathematical Writing
Donald Knuth, “Mathematical Writing” Youtube Playlist
P. R. Halmos, “How to Write Mathematics”
T. W. K¨orner. “How to Write a Part III Essay”
전체 글 15개, 2 페이지